선다원
선다원은 조선후기의 대선사(大禪師)이자 한국 다도(茶道)의 중흥조이신 다성(茶聖) 초의선사(1786-1866)의 덕(德)을 기리고, 다도와 선법을 널리 알리기 위해서 건립하였다. 선다원 내에는 초의선사의 진영을 모셔 놓았다. 영찬은 다음과 같다.
- 見月悟道
- 달을 보고 도를 깨달아
- 理事無碍
- 이와 사에 걸림이 없네
- 述頌禪茶
- 서문사변만어를 저술하고 동다송을 송하여
- 垂敎萬世
- 그 가르침 만세에 드리웠네
초의선사의 많은 저서 중에 대표적인 다서(茶書)로서는 『다신전』과 『동다송』이 있고, 선서(禪書)로는 『선문사변만어』를 들 수 있다.
『다신전』(茶神傳)은 1828년 아자방에서 모환문(毛煥文)이 엮은 『만보전서』 다경채요(茶經採要)에서 초록한 것이고, 『동다송』은 정조대왕의 사위인 해거도인(海居道人) 홍현주(洪顯周, 1793-1865)가 진도 부사인 변지화(卞持和)로 하여금 초의선사에게 다도에 관해 물어 오므로 청을 받아들여 저술한 것이다.
『선문사변만어』(禪門四辨漫語)는 백파긍선(白坡亘琁, 1767-1852)의 선론에 대한 반론인 동시에 초의선론의 요지를 담고 있다. 백파의 『선문수경(禪文手鏡)』은 임제3구(臨濟三句)에 각각 조사선(祖師禪), 여래선(如來禪), 의리선(義理禪)을 배대하여 그 우열과 심천(深淺)을 분별하고, 선문의 제종(諸宗)을 판석(判釋)하려는 선론(禪論)을 전개하고 있다. 초의선사는 이 『선문수경』의 오류를 지적하고, 옛 선사들의 말씀을 들어 그 잘못된 곳을 낱낱이 바로 잡았다.
『선문사변만어』의 전반부에서 백파선사의 주 논지인 삼처전심(三處傳心)의 살활(殺活) 문제와 이선대비(二禪對比), 삼종선(三種禪)과 임제삼구의 대비, 선문오종(禪門五宗)에 대한 조사선과 여래선의 대비와 우월 등을 전제한 후 자신의 선론을 피력하면서 고덕의 제설(諸說)을 인용하여 논증하였으며, 후반부에서는 「이선래의」(二禪來義),「격외의리변」(格外義理辨), 「살활」(殺活), 「진공묘유변」(眞空妙有辨)등 사변(四辨)으로 일목요연하게 그 개념을 설명하고 있다.
『다신전』, 『동다송』, 『선문사변만어』는 다인들과 참선을 하는 이들의 필독서이다. 통광스님은 이 세 책을 함께 묶어 『초의다선집』이라는 이름으로 역주하여 출판했다.